top of page

AI Agents 이대로 괜찮은가? : 안전한 사용을 위한 평가, 검증 및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예시

ree

1. 개요 (Introduction)


최근 다양한 산업에서 AI Agents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질문에 답변하는 챗봇을 넘어, 스스로 상황을 파악하고 필요한 도구(툴)를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에이전트가 기대만큼 안전하고 정확하게 동작하려면, 체계적인 평가와 검증, 그리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AI Agents를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해 꼭 필요한 평가, 검증, 모니터링 방법과 함께, 실제 비즈니스 환경에서 이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를 소개합니다.


2. AI Agents 개념 이해


2.1 AI Agents의 정의와 특징


  • AI Agents는 환경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자율적으로 의사결정을 수행하고, 특정 목표를 달성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입니다.


  • 최근에는 대형 언어 모델(LLM)과 결합되어, 문맥 이해는 물론이고 외부 도구(예: API, 데이터베이스, 사내 시스템 등)를 호출해 복잡한 작업까지 자동으로 처리하는 방식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주요 특징:


    1. 자율성: 사용자 질의에 즉시 응답하는 것을 넘어, 문제 해결에 필요한 추가 행동을 직접 수행.


    2. 도구 활용 능력: 상황에 따라 적절한 API, 데이터베이스, 분석 도구를 호출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


    3. 지속 학습 및 업데이트: 사용자의 피드백과 새로운 데이터를 반영하여 성능을 지속적으로 개선.


2.2 일반적인 동작 방식


  1. 사용자 요청 수신


  2. LLM 등을 통한 문맥 이해


  3. 필요한 도구 식별 (예: 뉴스 검색 API, 분석 API 등)


  4. 도구 호출


  5. 결과 취합 및 사용자에게 전달


  6. 피드백 수집 및 재학습 (선택 사항)


2.3 활용 사례


  • 고객 지원: FAQ 자동 응답, 문제 해결 가이드 제공


  • 마케팅 및 영업 지원: 시장 동향 및 경쟁사 분석, 보고서 작성


  • 데이터 분석: 특정 주제의 기사나 논문 검색 후 요약 및 인사이트 도출


  • 비즈니스 의사결정 지원: 정량적 및 정성적 데이터를 종합하여 의사결정에 필요한 자료 생성


3. AI Agents 평가, 검증 및 모니터링의 중요성


3.1 평가와 검증의 필요성


AI 에이전트는 기존의 정적 모델보다 훨씬 복잡한 의사결정 과정을 거칩니다. 만약 판단 오류나 불필요한 도구 사용이 누적되면, 비용 증가, 정보 누출, 업무 효율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한 정확도 평가를 넘어, 안전성, 효율성, 보안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3.2 주요 고려 요소


  • 정확도(Accuracy): 에이전트가 제공하는 답변이나 분석 결과의 정확성을 평가. 이는 잘못된 정보 제공을 방지하기 위해 중요

    https://www.gtt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13209


  • 처리 속도 및 자원 사용량: 시스템의 응답 시간과 CPU, GPU, 메모리 등의 자원 사용률을 모니터링하여 효율성을 평가


  • 비용 및 토큰 사용량: AI 모델이 API 호출과 결과 생성 과정에서 사용하는 비용과 토큰 사용량을 분석하여 경제적 효율성을 평가


  • 보안 및 권한 관리: 에이전트가 부적절한 범위로 도구를 호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는지 평가. 민감한 정보의 보호와 시스템의 무결성 유지


  • 도구 사용 효율성: 에이전트가 외부 도구나 API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하는지 평가. API 호출 성공률, 중복 호출률, 호출 비용 대비 결과 가치(ROI) 등을 통해 측정


4. 평가 및 검증 워크플로우와 지표 설계


4.1 목표 및 지표 설정


  • AI 에이전트의 용도별 목표 정의


    • 예: "뉴스 검색 결과 정확도를 90% 이상 유지"

    • 예: "분석·요약 결과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NPS) 8점 이상 달성"


  • 측정 가능한 지표(정량·정성적 지표) 설정


    • 정량 지표: 응답 정확도, API 호출 성공률, 응답 시간

    • 정성 지표: 사용자 만족도(CSAT, NPS), 인터뷰 등 정성 피드백


4.2 실험 및 데이터 수집


  • 베타 테스트: 특정 부서나 고객 그룹 대상으로 시범 운영


  • 로그·피드백 수집:


    • 툴 호출 로그(성공/실패·응답 시간)

    • 사용자 피드백(NPS, CSAT, 설문)


  • 에러 모니터링:


    • API 호출 실패율

    • 모델 추론 오류 발생 빈도

    • 보안 이슈(권한 오남용, 민감 데이터 노출 등)


4.3 평가 및 개선


  • LLM 성능 분석: 문맥 이해도, 답변 타당성, 요약 품질 등


  • 툴 호출 효율성 분석: 불필요한 중복 호출, 실패율, 캐시 활용 여부


  • 문제점 분류 및 개선:


    • 원인 식별(프롬프트 문제, 데이터셋 편향, 모델 구조 한계 등)

    • 수정·업데이트 후 재테스트


4.4 지속적 피드백 루프


  • 모델·에이전트 업데이트 및 재평가:


    • 개선된 모델의 성능 재점검, 사용자 만족도 재측정


  • DevOps/MLOps 적용:


    • CI/CD 파이프라인 구축, 자동화된 테스트, 점진적 배포

    • A/B 테스트로 다양한 버전 비교·검증


5. 실전 예시: 뉴스 검색·분석 AI Agent


5.1 시나리오 개요: A 회사 사례


A 회사는 매주 업계 뉴스를 모아 임직원에게 보고서 형태로 배포하려고 합니다. AI Agent가 지정된 키워드를 입력받으면, 뉴스를 자동으로 검색·분석·요약해 문서 형태로 결과를 반환합니다.


5.2 구현 및 평가 지표 예시

  • 도구 사용 효율성:


    • API 호출 성공률: 성공 호출 수 950 / 전체 호출 수 1,000 → 95%

    • 중복 호출률: 동일 키워드 반복 호출 수 50 / 전체 호출 수 1,000 → 5%

    • 캐시 활용률: 캐시 재활용 호출 수 300 / 전체 호출 수 1,000 → 30%


  • 분석 결과 활용 지표:


    • 의사결정 반영도: 작성된 보고서 40개 중 25개가 실제 사내 회의에서 사용됨 → 62.5%

    • 사용자 만족도: 설문 점수 평균 8.2/10 (100명의 피드백 수집 결과).


  • 비용 및 토큰 사용량:


    • API 호출 비용: 월간 API 호출 총 비용 $50 (1,000건 호출 기준)

    • 토큰 사용량: 평균 1회 호출당 1,500 토큰 사용. 총 1,500,000 토큰 소비 → OpenAI 기준 약 $30 비용 발생.


5.3 Logging & Observability 예시


  • 로그 스키마 예시:

{
"timestamp": "2025-01-07T10:00:00Z",
"tool_name": "NewsSearchAPI",
"request_params": {"keyword": "AI 산업", "dateRange": "1week"},
"response_status": 200,
"latency_ms": 350,
"is_cached": false,
"result_count": 150,
"api_cost": 0.005,
"tool_selection_reason": "Keyword requires real-time news updates",
"alternative_tools_considered": ["CachedNewsAPI", "HistoricalDataAPI"],
"selection_score": 0.92,
"user_feedback_score": 8,
"efficiency_metrics": {
"relevant_results_ratio": 0.85,
"time_saved_sec": 12,
"cost_efficiency": 0.97
}
  • 모니터링 툴:


    • PrometheusGrafana로 API 응답 시간, 에러율, 중복 호출률 등을 시각화


5.4 개선·운영 과정 요약


  1. 베타 운영 → 제한된 사용자에게 먼저 배포


  2. 로그 분석 → 중복 호출, 불필요 API 비용, 토큰 사용량 등 문제점 파악


  3. 캐싱 정책 도입 → 재요청 최소화 로직 추가로 API 호출 비용과 토큰 소비 최적화


  4. 재배포 후 KPI 측정 → 응답 속도, 만족도, 비용 절감 효과, 토큰 사용량 절감 효과 확인


  5. 비용 효율성 분석 → 호출당 비용과 토큰 소비를 기준으로 API 선택 및 정책 최적화


  6. 지속 모니터링 → 반복 개선을 통해 비용 및 자원 사용 최적화


6. 안전하고 효율적인 AI Agents 운영을 위한 팁


6.1 Human-in-the-loop 설계:


  • 의사결정 과정에서 높은 리스크를 가진 작업은 반드시 사람이 최종 확인하거나 승인을 내리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 예: 의료 분야에서 AI가 추천한 진단 결과는 반드시 전문의가 검토 후 확정


  • 이를 구현하려면 에이전트의 의사결정 흐름을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시각화하고, 중요한 결정에는 "승인 대기" 상태를 추가해야 합니다.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human_in_the_loop.html


6.2 윤리적 문제·편향성 모니터링:


  • 데이터 편향을 방지하기 위해 훈련 데이터셋의 다양성과 대표성을 주기적으로 검토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이나 인구 그룹에 과도하게 편향된 데이터는 배제하거나 재조정해야 합니다.


  • 실시간 모니터링: AI가 생성한 응답에서 차별적, 유해한 표현이 발견될 경우 자동으로 경고를 발송하거나 응답을 차단하는 시스템을 도입합니다.


  • 사례: 채용 AI 에이전트가 특정 성별이나 인종에 편향된 추천을 하는지 정기적으로 테스트


  • Partnership on AI와 같은 조직의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윤리적 원칙을 세분화하고 적용

    https://foruwana.com/entry/AI-윤리-편향-공정성-그리고-윤리적-문제-해결-방법


6.3 Agent 용도에 최적화된 평가 및 업데이트:


  • 정기적인 사용자 피드백 루프 를 통한 평가 고도화:


    • 주기적으로 설문조사(NPS), 사용자 로그 분석을 통해 AI의 성능과 사용자 만족도를 평가

    • 예: 한 달 단위로 AI 에이전트가 처리한 요청의 10%를 샘플링해 정확도를 점검


  • MLOps 도구 활용으로 신규 데이터 및 평가 항목 업데이트 :


    • 자동화된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통해 새로운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추가하여 AI 모델을 업데이트

    • 예: 주요 KPI(성능 지표)가 10% 이상 하락하면 모델 재학습 워크플로우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 사용자 피드백 내용 기반으로 보완 항목 업데이트


  • 객관적인 평가 및 비교가 가능한 A/B 테스트:


    • 새로운 모델을 소규모 사용자 그룹에 먼저 적용하고, 기존 모델과의 성능을 비교하여 안정성을 확인한 후 전면 배포

    • A/B 테스트 평가 로직을 객관화 하고 평가 모수(Test Case)를 늘림으로써, 일관된 평가 품질 향상을 구현


7. 결론


AI Agents는 이제 챗봇을 넘어 복잡한 의사결정까지 자동화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이 잠재력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목표·지표를 설정하고 체계적인 로깅과 모니터링을 통해 끊임없이 개선해나가야 합니다.


  • 핵심 요약:


    • 평가·검증 프로세스를 도입해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

    • DevOps/MLOps 파이프라인으로 지속적 모니터링·업데이트 수행

    • 용도 및 규제에 최적화된 평가 기능의 고도화


앞으로의 전망으로, 더욱 많은 AI Agents가 다양한 산업 전반에 스며들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발맞춰 인프라·보안·윤리 측면에서의 협업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질 것입니다.


TecAce의 AI Supervision은 엔터프라이즈 AI Agent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AI평가 및 품질 감리 솔루션입니다. 앞서 소개드린 Human In the Loop, ML/LLM OPs와의 연동, Evaluation Metric Studio, 평가 모수 증강을 위한 양질의 테스트케이스 생성 솔루션등을 제공합니다.


8. 참고 자료


  1. Partnership on AI: AI 윤리 및 편향성 문제 해결을 위한 가이드라인

  2. Prometheus: API 모니터링 및 성능 분석 도구

  3. Grafana: 데이터 시각화 및 대시보드 구성 도구

  4. OpenAI Function Calling: OpenAI 기반 기능 호출 가이드

  5. Hugging Face Transformers: NLP 및 LLM 모델 라이브러리

  6. MLOps Community GitHub: MLOps 관련 사례 및 도구 소개

  7. AI 윤리 사례 분석: AI 윤리적 문제 및 해결 방안

  8. https://skimai.com/how-agentops-helps-developers-build-and-monitor-reliable-ai-agents/

  9. https://learn.microsoft.com/en-us/azure/databricks/generative-ai/agent-evaluation/llm-judge-metrics


AI Supervision으로 AI 거버넌스를 선도하세요! AI Supervision은 AI 시스템의 투명성과 윤리적 책임을 보장하며, 기업이 신뢰할 수 있는 AI 거버넌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실시간 모니터링, 성능 평가, 윤리적 기준 준수까지 모두 갖춘 AI Supervision으로 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환경을 만들어 보세요!

Comments


bottom of page